[따뜻한 이야기] 깨진 도자기

모두뉴스 [따뜻한 이야기] 깨진 도자기

    • @jeonos1223

      [따뜻한 이야기] 깨진 도자기

      연세가 지긋한 노인이 값비싸 보이는 도자기를 들고 조심스럽게 길을 가고 있었습니다.
      길을 지나가는 사람들도 그 도자기의 아름다움에 놀라 모두 감탄할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조심스럽게 길을 가던 노인이
      그만 돌부리에 걸려 몸을 휘청거리다가 길바닥에 넘어지고 말았습니다.

      그 바람에 들고 있던 귀한 도자기가
      땅에 떨어져 산산조각이 나고 말았습니다.

      이를 본 사람들은 노인을 바라보았습니다.
      그러나 노인은 담담한 표정으로 툭툭 털며 일어나 깨진 도자기 조각들을 조심히 치우더니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다시 길을 갔습니다.
      이 모습을 본 한 젊은이가 노인에게 다가가 물었습니다.

      “어르신, 제가 보기에 상당히 값나가는
      도자기인 것 같은데 그 귀한 것을 깨트리고도 어찌 담담할 수 있습니까?”

      그러자 노인은 허허 웃으며 젊은이에게 말했습니다.

      “이미 깨진 도자기를 보고 후회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소?
      뒤늦게 후회하느니 이를 교훈 삼아 앞을 잘 보고 조심하며 걸어가는 것이 더 낫지 않겠나.


      후회 없는 일만 하며 살아갈 수는 없습니다.
      다만 그 후회를 교훈으로 삼고 착실하게 앞을 보며 걸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삶은 뒤를 보는 게 아니라 앞을 보며 달려가는 긴 여정이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명언>
      이미 끝난 일을 말하여 무엇하며,
      이미 지나간 일을 비난하여 무엇하리.
      – 공자 –

      < 전옥수 기자 >

      댓글쓰기
    1 답변 보임 - 1 에서 1까지 (총 1중에서)
    • 글쓴이
      답변
    • 비밀글입니다
    1 답변 보임 - 1 에서 1까지 (총 1중에서)

    사진 게시하기

    끌어 넣기, 터치 또는 클릭

    '[따뜻한 이야기] 깨진 도자기'에 답변달기



    6 + 3 =

    • 3.1절

      글쓴이: 김정임기자 모두뉴스

      양력 3월 1일 대한민국임시정부 시절부터 국경일로 지정하며 기념하였던 날로, 한국의 5대 국경일 중 하나이다. 임시정부에서는 1920년에 3·…

    15 게시글 보임 - 1에서 15까지 (총 147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