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eonos1223
다시 젊어지고 싶지 않다
뒤바뀌는 시대와 작품에 대한 탄압도 묵묵히 견디며 폭풍 같은 한국 현대사의 한 복판에서도
펜을 놓지 않았던 소설가 박경리.그녀가 써 내려간 작품 중
30여 년의 세월 동안 집필한 대하소설 토지는
한국 문단 줄기에 깊은 뿌리가 되었습니다.
지금까지도 현대문학 최고의 고전으로 손꼽히는 토지를 쓰기까지 그녀의 삶은 고단했습니다.가족을 등진 아버지 대신 가장의 역할을 해야 했고, 억울한 옥살이로 죽은 남편과 아들을 잃은 슬픔을 오롯이 견뎌내야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냉혹한 삶의 고통마저, 작품으로 승화시켰습니다.
그리고 그녀는 세상을 떠나기 전 마지막까지
자신의 인생 이야기를 담은 시를 써 내려갔습니다.
소설가 박경리의 유고 시집의 한 구절입니다.다시 젊어지고 싶지 않다.
모진 세월 가고…아~ 편안하다.
늙어서 이렇게 편안한 것을,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
때론 다른 사람의 삶과 글을 통해
인생의 지혜를 배우기도 합니다.소설가 박경리의 유고 시집을 통해서
우리는 인생의 끝자락에 다다랐을 때야
쥐고 갈 것보다 버리고 갈 것이 더 많음을 알게 됩니다.오늘의 명언
그릇은 비어 있어야만 무엇을 담을 수가 있다.
– 노자 –
- ♡상식 코너♡재택의료 -한국의 재택 의료 대상- 보건복지부는 올해부터 재택의료센터 사업을 늘렸다. 전국 28개 재택의료센터가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환자로부터 2…
-
- ♡상식코너♡호 흡 우리의 인생여정은 호흡의 여정 이라 할수 있다. 우리는 누구나 숨을 터트리며 세상에 나왔다가 마침내 숨을 거두며 이세상을 떠나기 때 문이다 어…
-
- ♡상식 코너♡대만 장례풍습 대만 대만은 유교문화 종주국의 법통을 이어받았다고 자부하는 나라여서 그런지 아직도 명당을 찾아 호화 분묘를 쓰려는 사람들이 많고, 화장보다는 …
-
- 작은연필가게 흑심 2023.3.9 연남동에 있는 흑심이라는 연필 만 주로 판매,하는곳을 다녀왔다. 다양한 종류의 연필들 옛 생각을 나게 하는 연필들 처음보는 …
-
- ♡상식 코너♡베트남 장례 베트남 베트남은 중국의 유교사상의 영향을 받아 우리의 전통 생활양식과 비슷한 점이 많다. 장례 풍습은 염에서부터 매장에 이르기까지 너무나 비슷…
-
- 윤곽 드러난 ‘노후계획도시법’, 서울에 어떤 영향 있을까? 윤곽 드러난 ‘노후계획도시법’, 서울에 어떤 영향 있을까? 애널리스트 채상욱의 ‘내 손안에 부동산’…
-
- 무료로 광고하세요! 소상공인에 서울시 홍보매체 개방 서울시는 소상공인, 비영리단체 등의 지원을 위해 홍보매체 시민개방 단체공모를 3월 6일부터 4월 6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서울시 홍보매체 시…
-
- 치매어르신 실종예방 ‘스마트지킴이’ 1,800대 보급 치매어르신 실종예방 ‘스마트지킴이’ 1,800대 보급 서울시는 치매 어르신의 실종 예방과 안전 돌봄을 위해 ‘스마트지킴이…
-
- 경칩뜻 경칩 ( 驚蟄 ) 경칩「명사」 이십사절기의 하나. 우수(雨水)와 춘분(春分) 사이에 들며, 양력 3월 5일 경이다. 겨울잠을 자던 벌레, 개구리 따위가 깨어 꿈…
-
- ♡상식코너♡중국의장례문화 1) 중국 인구 13억, 남한 면적 97배인 중국에서는 장례식 일체를 화장장에서 치르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세계인구의 20%가 넘는 12억…
-
- 3.1절 양력 3월 1일 대한민국임시정부 시절부터 국경일로 지정하며 기념하였던 날로, 한국의 5대 국경일 중 하나이다. 임시정부에서는 1920년에 3·…
-
- 올해 ‘거점형 키움센터’ 2곳 더 생긴다! 운영시간도 연장 우리동네키움센터 돌봄공간 모습 서울시가 새 학기를 맞아 ‘거점형 우리동네키움센터’를 추가로 만들고, 운영시간을 확대하는 등 초등돌봄 서비스를 …
-
- ♡상식코너♡현대장례절차 현대장례절차 첫째 날 1. 운구 임종 후 시신을 장례식장으로 이송합니다. 2. 사망진단서(시체검안서)발급 자택에서 사망시 시체검안서를 발급받습…
-
- ♡상식코너♡웰다잉 작은 의미 죽음은 그대로 삶의 결과물 갑작스런 죽음을 제외하고 명이 다한 죽음의 과정을 보면 삶의 결과물들이 죽기 전부터 하나씩 또는 무더기로 드러나기 …
-
- 매주 토 트레킹하는 재미! 서울둘레길 ‘100인 원정대’ 서울의 산과 강, 마을을 연결해 총 길이 156.5㎞로 만들어진 서울둘레길. 지난 12월 1일 6만번째 완주자가 나왔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