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례 이야기

모두뉴스 상.장례 이야기

    • @opakim

      상.장례 이야기

      49제/49재 의미와 계산방법, 상차림방법까지

      간단하다면 간단하지만
      사실 일상생황에서는 자주 쓰이지 않기 때문애
      생소하기도 하고 처음 지내보시는분들이라면 헷갈리실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본문 내용을 확인하고 준비를 하신다면
      더욱 완벽한 49재 상차림 될 수 있겠죠?
      우선 49제의미 부터 계산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49제/49재 의미

      • 사람이 죽은 뒤 49일째에 치르는 불교식 제사의례로 7일마다 7차례 49일동안 고인의 명복 을 기리는 의식. (이승)
      • 사람이 죽은뒤 49일동안 이승에서의 행적에 대한 재판, 7일마다 7차례의 재판 49일이 지난 뒤 극락으로 간다는 의미 (저승)
      • ’49재(사십구재:四十九齋)’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49제/49재 상차림

      • 일반 제사상보다는 조금 간소화하여 준비, 고인분이 살아 생전 좋아하셧던 음식을 제사음식 으로 올려도 무방
      • 육류나 어류는 사용을 하지 않고,
        고추가루나 마늘, 소금, 팥 등도 예로부터 귀신을 쫓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사용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49재/49제 계산방법

      • 초재, 2재, 3재, 4재, 5재, 6재, 7/7재(막재) 7일째 되는날 마다 올리며 돌아가신날부터
        계산을 하시면 됩니다.

      간단하게 49제/49재 의미, 상차림, 계산방법까지 여러가지 알아봤는데요
      누구나 한번쯤은 경험을 하기 때문에 미리 숙지를 해두신다면 도움이 되겠죠?

      김정임 기자

      댓글쓰기
    1 답변 보임 - 1 에서 1까지 (총 1중에서)
    • 글쓴이
      답변
    • 잘 알아두어야 할 이야기 같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1 답변 보임 - 1 에서 1까지 (총 1중에서)

    사진 게시하기

    끌어 넣기, 터치 또는 클릭

    '상.장례 이야기'에 답변달기



    4 + 2 =

    • 3.1절

      글쓴이: 김정임기자 모두뉴스

      양력 3월 1일 대한민국임시정부 시절부터 국경일로 지정하며 기념하였던 날로, 한국의 5대 국경일 중 하나이다. 임시정부에서는 1920년에 3·…

    15 게시글 보임 - 1에서 15까지 (총 145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