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eonos1223
근육∙뼈 건강을 지켜주는 신비의 열매, 오미자
단맛∙신맛∙쓴맛∙짠맛∙매운맛 5가지 맛을 음미할 수 있는 오미자가 9~10월 제철을 맞았다. 천연 여성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오미자는 식물성 에스트로겐 성분인 리그난을 함유하고 있어 갱년기 여성들에게 특히 주목받고 있다. 리그난은 강력한 항산화 성분으로 안면홍조, 땀, 갈증, 감정 기복 완화에 도움을 주는 신비의 열매로 통한다.
인간은 노화가 진행되면서 생리적 기능은 물론 근육과 골격계도 퇴화된다. 입안에 염증이 생기고 치아 상태도 노화를 맞게 마련이다. 이러한 항노화와 관련한 오미자의 새로운 효능이 알려져 화제를 모은 바 있다. 지난해 농촌진흥청과 전북대학교의 공동 연구에서 오미자의 주요 성분인 고미신A와 시잔드린C가 골밀도를 최대 3배까지 높여 근골격계 퇴화, 치아 소실 등 노화 개선에 도움을 준다고 밝혔다.골다공증이 있는 쥐에게 실험한 결과 근육 성장을 예측하는 분자 발현은 4배, 뼈의 분화 인자 발현은 2~4배, 골밀도는 2~3배까지 증가했다. 사람 세포 실험에서도 노화 개선에 의미 있는 결과를 보였다. 고미신A는 노화계 세포의 노화지표(산화물질 등) 활성과 염증성 물질 발현을 55.5% 수준으로 억제하고, 시잔드린C는 치아 유지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산화물을 45.7% 감소시킨다. 이번 연구결과는 약용식물 관련 국제 학술지를 비롯해 5편의 논문에 실리며 학술적으로도 인정을 받았다.
새로운 ‘근육∙뼈 건강지킴이’로 떠오른 오미자는 면역력을 높이는 우리나라 대표 약초 중 하나로 효능 또한 다양하다. 심장을 강하게 하며 혈압은 낮추고 기침, 가래를 멎게 한다. 100g당 23Kcal의 저열량 음식으로 다이어트에도 좋고, 간 해독 작용을 도와 피로를 개선한다. 환절기 감기 예방에도 효과적이며 소화 촉진 및 당뇨병, 빈혈 개선, 염증 억제로 피부 트러블을 완화한다.오미자는 다섯 가지의 맛 중 신맛이 가장 강하다. 신맛이 침을 고이게 하는 데서 알 수 있듯 오미자는 신장을 자극해 점액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며 입 마름을 없애준다. 따라서 목이 잘 쉬거나 잔기침이 잦은 사람들은 오미자차를 꾸준히 복용하면 개선에 도움이 된다.
또 신맛이 강해 입맛을 잃었을 때 오미자차 몇 잔 먹으면 입맛이 돌아오기도 한다. 따라서 제철에 오미자청을 만들어두었다가 얼음물이나 따뜻한 물, 탄산수, 우유 등 취향에 따라 희석해 마시면 차, 음료, 요구르트로 즐길 수 있으며 레몬을 추가해 새콤한 맛으로 즐길 수도 있다.
오미자 부작용 주의하세요!
오미자는 독성이 없지만, 과하게 먹는 경우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신맛이 강한 오미자를 빈속에 과다 섭취하는 경우 속 쓰림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오미자 성질은 따뜻해 고열이 난다거나 다한증으로 손발에 땀이 날 때 과다 복용은 피한다. 또 위염과 위궤양, 역류성 식도염 증상으로 약을 먹고 있는 이들은 오미자 복용을 피한다.
두고두고 먹을 수 있는 오미자청 만드는 법[재료]
오미자(열매), 설탕
[이렇게 만드세요]1.유리병은 뜨거운 물에 소독한 뒤 물기를 제거한다.
2.오미자와 1.2배의 설탕을 준비한다.
3.흐르는 물에 오미자를 깨끗이 씻어준다. 오미자는 쉽게 무르기 때문에 재빨리 세척하는 것이 좋다.
4.오미자를 채반에 올려놓고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다.
5.유리병에 오미자와 설탕을 번갈아 가며 켜켜이 쌓는다. 마지막에는 오미자가 보이지 않게 설탕을 듬뿍 덮어준다.
6.설탕이 녹을 때까지 서늘한 곳에서 약 2~5일간 보관한다. 이때 나무 주걱으로 설탕이 녹을 수 있도록 저어준다.
7.설탕이 다 녹으면 냉장고에 보관하며 저온으로 숙성시킨다.
< 전옥수 기자 >
- ♡상식 코너 ♡내가 가진것 내가 가진것 내가 가진 것과 당신이 가진 것을 더하면 그것은”만남”입니다. 내가 가진 것에 당신이 가진 것을 빼면 그것…
-
- 해탈(解脫) 해탈(解脫) ‘해탈(解脫)’이란 세상 일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니진정한 ‘자유̵…
-
- ♡상식 코너♡재택의료 -한국의 재택 의료 대상- 보건복지부는 올해부터 재택의료센터 사업을 늘렸다. 전국 28개 재택의료센터가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환자로부터 2…
-
- ♡상식코너♡호 흡 우리의 인생여정은 호흡의 여정 이라 할수 있다. 우리는 누구나 숨을 터트리며 세상에 나왔다가 마침내 숨을 거두며 이세상을 떠나기 때 문이다 어…
-
- ♡상식 코너♡대만 장례풍습 대만 대만은 유교문화 종주국의 법통을 이어받았다고 자부하는 나라여서 그런지 아직도 명당을 찾아 호화 분묘를 쓰려는 사람들이 많고, 화장보다는 …
-
- 작은연필가게 흑심 2023.3.9 연남동에 있는 흑심이라는 연필 만 주로 판매,하는곳을 다녀왔다. 다양한 종류의 연필들 옛 생각을 나게 하는 연필들 처음보는 …
-
- ♡상식 코너♡베트남 장례 베트남 베트남은 중국의 유교사상의 영향을 받아 우리의 전통 생활양식과 비슷한 점이 많다. 장례 풍습은 염에서부터 매장에 이르기까지 너무나 비슷…
-
- 윤곽 드러난 ‘노후계획도시법’, 서울에 어떤 영향 있을까? 윤곽 드러난 ‘노후계획도시법’, 서울에 어떤 영향 있을까? 애널리스트 채상욱의 ‘내 손안에 부동산’…
-
- 무료로 광고하세요! 소상공인에 서울시 홍보매체 개방 서울시는 소상공인, 비영리단체 등의 지원을 위해 홍보매체 시민개방 단체공모를 3월 6일부터 4월 6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서울시 홍보매체 시…
-
- 치매어르신 실종예방 ‘스마트지킴이’ 1,800대 보급 치매어르신 실종예방 ‘스마트지킴이’ 1,800대 보급 서울시는 치매 어르신의 실종 예방과 안전 돌봄을 위해 ‘스마트지킴이…
-
- 경칩뜻 경칩 ( 驚蟄 ) 경칩「명사」 이십사절기의 하나. 우수(雨水)와 춘분(春分) 사이에 들며, 양력 3월 5일 경이다. 겨울잠을 자던 벌레, 개구리 따위가 깨어 꿈…
-
- ♡상식코너♡중국의장례문화 1) 중국 인구 13억, 남한 면적 97배인 중국에서는 장례식 일체를 화장장에서 치르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세계인구의 20%가 넘는 12억…
-
- 3.1절 양력 3월 1일 대한민국임시정부 시절부터 국경일로 지정하며 기념하였던 날로, 한국의 5대 국경일 중 하나이다. 임시정부에서는 1920년에 3·…
-
- 올해 ‘거점형 키움센터’ 2곳 더 생긴다! 운영시간도 연장 우리동네키움센터 돌봄공간 모습 서울시가 새 학기를 맞아 ‘거점형 우리동네키움센터’를 추가로 만들고, 운영시간을 확대하는 등 초등돌봄 서비스를 …
-
- ♡상식코너♡현대장례절차 현대장례절차 첫째 날 1. 운구 임종 후 시신을 장례식장으로 이송합니다. 2. 사망진단서(시체검안서)발급 자택에서 사망시 시체검안서를 발급받습…
-